컴관련 정보

컴용량늘리기-PC 에러 처방전-컴을 최대 성능으로 사용하는 방법

새시로 2008. 11. 3. 13:57

1> [컴퓨터 용량 늘이기^^*]

1.도구→인터넷옵션→내용→자동 완성→(체크된것 다 풀고)→폼지우기, 암호지우기 클릭

2.내 컴퓨터→C드라이브 오른쪽 버튼 누름→등록정보 클릭(윈XP는 속성)→디스크 정리

3.디스크 공간늘림 실행(시작→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시스템도구 winXP는 제어판에 있음)

4.디스크 조각모음(시작→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시스템도구)

5.도구→인터넷 옵션→파일삭제 클릭→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 체크→삭제 클릭

6.도구→인터넷 옵션→쿠키삭제 클릭

7.도구→인터넷 옵션→페이지 보관 일 수 숫자 될수 있는 한 조금으로 줄이기

8.기록 클릭(기록은 주소검색창 위에 있음.. 시계그림)→모두 마우스 오른쪽버튼 눌러 삭제 클릭

9.될수 있는 한 즐겨찾기 목록 지우기

10.될수 있는 한 파일이나 폴더를 알집으로 압축하기

11.가상메모리는 될 수 있는 한 윈도우 디폴트값을 사용함

12.파일이나 폴더를 디스켓에 옮겨둠

13.파일이나 폴더를 USB대용량저장소에 옮겨둠(USB대용량저장소란 이동식디스크를 말함)

14.파일이나 폴더를 CD에 옮겨둠

15.시작→설정→제어판→프로그램추가/삭제→사용하지않는 프로그램이나 windows 구성요소를 삭제

16.바이러스 진단(시작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서 V3로 바이러스 검사 누르시던가http://home.ahnlab.com/로 들어가서 함)

17.바탕화면에 아이콘 많이 놓지 않기
(아이콘 하나당 3~4kb씩은 잡아먹습니다. 특히 될수 있는 한 단축아이콘(바로가기 아이콘)만 놓기)

18.바탕화면에 용량 큰 이미지파일 놓지 않기

19.System Cleaner 다운
PC를 에러 없이 빠르게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 System Cleaner입니다.

20.Clean Space 다운
윈도우의 쓸데없는 파일들과 흔적을 지워주는 Clean Space입니다.

21.CleanCenter 다운
사용자 시스템의 불필요한 파일을 찾아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

22.Easy WinCleaner2002 다운
국산 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 Easy WinCleaner2002입니다.

23.Registry Clean Pro 다운
윈도우즈 레지스트리의 잘못된 부분을 고침으로써 시스템 최적화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24.Easy Clean 다운
윈도우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파일이나 레지스트리를 검색, 삭제해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높여주는 이지클린입니다


(19번부터 24번까지는 컴퓨터를 최적화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http://www.megapass.net/에 들어가서 자료실→사용자자료실→오른쪽 중간쯤 검색창에 clean이라고 침

또 이지클린(Easy Clean) 다운받으려면 클린이라고 친다..


.. ▶ 디스크 정리 이용하기
시작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디스크 정리. 실행후 디스크 정리 탭에 보면 제거할 파일이라고 해서,

임시인터넷파일/다운로드한 프로그램파일/휴지통/임시파일이 있습니다.

모두 체크, 확인을 누르면 삭제.

▶시스템 복원 사용안하기
복원용으로 백업파일 보관기능 해제. 제어판 >> 시스템 >> 성능 탭 >> 파일시스템 단추 >> 문제 해결 >> 시스템 복원 사용안함 체크

▶ 휴지통 용량 다시잡기
휴지통의 크기는 보통 50~100메가 이내면 충분.
바탕화면 >> 휴지통 (오른쪽 클릭) >> 메뉴중 등록정보 >> 일반설정 >> 드라이브 마다 따로설정 >> c: 탭 >> 휴지통의 크기 조절.
1 슬라이드 바를 조절해 50~100메가 사이로 조절.
다른 하드도 마찬가지.

▶ 쓸데없는 파일지우기
용량이 큰 프로그램이나 게임 위주로 삭제. 한달동안 한번도 안써본 프로그램이나 게임은 과감히 지우는 것이 좋다.


<2> 심심하면 뜨는 PC 에러 처방전

모든 물건이 그렇듯 PC도 조심조심 다뤄야 한다. PC가 병에 걸리는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쓸데없는 자료를 가득 담아놓거나 아무 파일이나 마구 지우고,
업데이트를 제때 안 해주는 등 관리를 소홀히 하면 PC가 병에 걸리고 만다.

바이러스에 걸리면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로 치료해야 하고,
속도가 느려지면 필요없이 자리만 차지하는 것들을 모조리 없애주고,
이상한 에러 메시지가 뜨면 원인을 찾아 처방전을 써야
PC가 항상 제 컨디션을 유지한다.

하지만 PC 초보자들은 에러가 생기는 원인조차 알 수 없으니
간단히 고칠 수 있는 에러 메시지가 떠도 손도 못 댄다.
지금부터 전문가의 손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에러를 척척 해결해 보자.

1.시간이 지날수록 부팅 속도가 점점 느려질때...

★원인
윈도우즈 시작 프로그램에 응용 프로그램을 많이 등록했기 때문이다.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은 윈도우즈가 시작되면서
알아서 함께 띄운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 수가 많으면 메모리 용량을 가득 차지하므로
윈도우즈 수행 속도가 떨어진다.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 자주 쓰지 않은 것을
지워서 부팅 속도를 높인다.
★해결★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지우면
부팅 속도가 빨라진다.
윈도우즈 바탕화면 왼쪽 아래에 있는 ‘시작’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 → 시작 프로그램을 고른다.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삭제’를 골라 모두 지운다.

2.윈도우즈가 종료 되지 않을때...

★원인
윈도우즈 98은 종료 버튼을 누르면 먹통이 되는 에러가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이런 에러를 고쳐주는 패치를 내놓았다.
★해결★
윈도우즈 98 종료가 안 되는 에러를 잡는 파일을 깔고 PC를 다시 부팅한다.
종료 패치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나 소프트웨어 전문 사이트,
PC사랑 홈페이지 등에 들어가 ‘검색’ 칸에 ‘종료 패치’라고 쓰면 바로 찾을 수 있다.
패치 파일을 내려받아 더블클릭 하면 알아서 패치한다.
종료 패치 파일을 내려받아 더블클릭한다.

3.부팅하면 바탕화면 아이콘들이 깨질때...

★원인
윈도우즈 아이콘 정보를 담은 파일인 ShellIconCache가 깨졌기 때문이다.
★해결★
윈도우즈 아이콘 그림은 c:\windows 폴더에 ShellIconCache 파일로 묶어서 담아놓는다.
이 파일은 여기저기 흩어진 아이콘 파일을 하나로 모아 윈도우즈가
아이콘 그림을 읽는 속도를 빠르게 하려고 잠깐 묶음으로 만든 캐시 파일이다.
바탕화면의 아이콘 그림이 바뀌거나 깨지면 ShellIconCache 파일을 지우고
다시 부팅하면 아이콘이 제대로 보인다.
ShellIconCache 파일은 숨김 파일이어서 윈도우즈 폴더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윈도우즈 탐색기 창을 띄워 찾는다.
1. 시작 버튼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탐색’을 골라
윈도우즈 탐색기를 띄운다.
보기 → 폴더 옵션을 고른 뒤 ‘보기’ 탭을 누른다.
모든 파일 보기’에 체크하면 숨김 파일도 탐색기에서 모두 볼 수 있다.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도구 → 찾기 → 파일 또는 폴더를 고른다.
이름 칸에 ShellIconCache를 쓰고 ‘지금 찾기’ 버튼을 누른다.
찾은 ShellIconCache 파일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삭제’를 고른다.
PC를 다시 켜면 ShellIconCache 파일이 다시 생긴다.

4.부팅할 때 ‘000.vxd 파일이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나올때...

★원인
응용 프로그램을 깔고 나서 이것을 지울 때 언인스톨하지 않고
탐색기에서 바로 지워서다.
★해결★
정확히 어떤 파일이 없는지 알아야 한다.
부팅할 때 오류가 생긴다는 파일 이름을 확인한다. ‘
시작 버튼’을 눌러 ‘실행’ 칸에 regedit를 적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HKEY_LOCAL_MACHIN7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VxD를 차례로 누른다.
여기서 오류가 생기는 vxd 파일 이름과 같은 폴더를 찾아서 지우면
오류 메시지가 뜨지 않는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 오류가 생기는 vxd 파일 이름을 찾아서 지운다.

5.윈도우즈에서 데이터 파일을 열려고 하는데 “파일이 손상되어 열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뜰때..

★원인
연결 프로그램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다.
윈도우즈 98은 시스템 파일과 몇몇 특정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뺀 모든 파일들에
프로그램이 연결되어 있어서 파일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연결 프로그램이 뜨면서 내용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글로 만든 문서를 불러온다고 치자.
원래는 글을 띄워 파일 → 불러오기를 누르고 편집할 문서를 불러와야 하지만
연결 프로그램 덕분에 문서를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글이 저절로 수행되면서 문서 내용을 보여준다.
★해결
오류 메시지가 뜨는 파일의 연결 프로그램을 찾아 연결해준다.
열려고 하는 파일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연결 프로그램을 고른 뒤 ‘사용할 프로그램을 선택하십시오’
칸에서 확장자와 짝이 맞는 프로그램을 찾는다.
항상 이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열려면 ‘이 파일을 열 때 항상 이 프로그램을 사용’
에 체크한 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연결 프로그램 창에서 ‘기타’를 누르면 항목에 없는 프로그램을
다른 곳에서 고를 수 있다.
연결 프로그램 창을 띄워 확장자에 맞는 프로그램을 고른다.


6.dll 연산오류’ 메시지가 뜨면서 윈도우즈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때..

★원인
dll은 작은 프로그램들을 모아놓은 파일로서 ?글같은 큰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파일이 있을 때 가져다 쓰는 도서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덩치가 큰 응용 프로그램이 프린터나 스캐너 등과 같은
특정 장치와 연결하려고 쓰는 작은 프로그램은 종종 dll 파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프로그램에 모든 파일을 담으면 용량도 커지고 수행 속도가 떨어진다.
때문에 dll 파일에 나누어 담으면 응용 프로그램이 가벼워서 수행 속도가 빨라진다.
응용 프로그램은 필요한 dll 파일을 깔 때 윈도우즈 폴더에도 복사한다.
갖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깔다보면 dll 파일이 바뀌거나 깨져서 종종 이런 오류가 생긴다.
★해결★
dll 연산 오류가 나는 프로그램을 지우고 다시 깔면 된다.
그래도 문제가 생기면 윈도우즈 시스템 dll 파일이 깨진 것이다.
이때는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쓰자.

1. 윈도우즈 98 설치 CD가 필요하다. 시작 버튼 →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시스템 도구
→ 시스템 정보를 누른다. 도구 →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띄우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즈 98을 처음 깔았을 때와 비교해서 바뀐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다.


2. 바뀌거나 지워진 파일을 찾으면 ‘파일 복원’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파일 복원’ 창이 뜨면 백업할 폴더를 골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소리가 나지 않을때..

★원인
스피커 연결 잭이 빠졌거나 스피커 전원이 꺼졌거나 볼륨 조절에서
‘음소거’에 체크했거나 사운드 드라이버가 깨지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해결★
먼저 스피커와 본체의 사운드카드로 연결된 잭을 확인한다.
그 다음 윈도우즈 창 오른쪽 아래의 시작 작업표시줄에 노란색 스피커 모양의
아이콘을 두 번 눌러 ‘볼륨 컨트롤 표시’ 창을 띄운 뒤 ‘음소거’에 체크 표시가
있는지, 소리를 낮추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에도 이상이 없다면 사운드 드라이버를 다시 깐다.


1. 스피커 연결 잭이 제대로 꽂혀 있는지 살핀다.
스피커 연결 잭이 헐겁다면 단단히 끼운 다음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2. 연결에 이상이 없으면 시작 작업표시줄의 노란색 스피커 아이콘을 더블클릭한다.
아이콘이 보이지 않으면 시작 → 설정 → 제어판 → 사운드 및 멀티미디어를 고른 뒤
‘작업표시줄에 볼륨 컨트롤 표시’에 체크 표시가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에 체크해도 사운드 드라이버를 깔지 않았거나 장치와 충돌이 있으면
이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는다.


3. 스피커 아이콘을 눌러 ‘볼륨 컨트롤’ 창을 띄웠다면
‘모두 음소거’나 ‘음소거’에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볼륨 컨트롤’ 창에도 이상이 없다면 시작 → 설정 → 제어판의 ‘시스템을 고른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뜨면 ‘장치 관리자’ 탭을 누르고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를 고른다.


5. 선택된 장치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 정보’를 고른다.
‘드라이버’ 탭을 고른 뒤 ‘드라이버 업데이트’ 버튼을 누른다.


6. ‘기존 드라이버보다 나은 드라이버 검색’에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누른 뒤 ‘찾아보기’를 누른다.


7. 드라이버가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찾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버가 저절로 깔린다.


7.익스플로러를 띄우자마자 외국 계열 검색 프로그램 등 다른 웹페이지가 자꾸 뜰때..

★원인
인터넷을 항해하다 보면 수많은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이 중에서 내 PC의 레지스트리 값을 마음대로 바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울 때
처음 접속하는 홈페이지를 스스로 바꾸는 사이트가 있다.
처음에 뜨는 홈페이지를 이용자가 다시 바꿔도 배너 광고 창이나
**** 사이트를 마꾸 띄운다. 대표적인 사이트가 ‘고힙’ 사이트다.
★해결
고힙 사이트에 들어가면 나도 모르게 윈도우즈 레지스트리 값을 바꾼다.
때문에 아무리 기본 페이지를 다시 설정해도 고힙만 뜬다.이럴 때는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힙 레지스트리를 바꾸지 못하게 하는 패치 파일을 깔면 된다.


1. 고힙 홈페이지에(www.gohip.com/remove_browser_enhancement.html)에 들어가 click here를 누른다.
remove.exe 파일을 내려받으려면 ‘확인’을 누른다.
폴더를 정하고 ‘저장’ 버튼을 누른다.


2. 내려받기가 끝나면 지정한 폴더로 가서 remove.exe를 누른 뒤 exit 버튼을
누르면 패치 파일이 깔린다.

8.인터넷으로 영화를 보는데 소리만 나오고 화면이 보이지 않을때

★원인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버전이 낮거나 동영상을 돌려보게 하는 코덱이 없어서다.
★해결★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의 최신 버전이나 모든 코덱을 합친 통합 코덱을 깐다.
인터넷에는 갖가지 통합 코덱이 올라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것이 Unified Codecs Pack이다.
웹사이트(user.chollian.net/~ckgfx/)에서 최신 버전 코덱을 내려받아 설치하면
중간에 여러 가지 코덱이 뜬다. 이 중에서 필요한 것을 체크하면 깔린다.


1.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홈페이지(www.microsoft.com/windows/windowsmedia/download/default.asp) 들어가
최신 버전을 내려받아서 깐다.


2. 인터넷에서 unified codecs pack 6.10을 내려받아 깔면 설명 글이 뜬다.
‘동의함’ 버튼을 누르면 수많은 코덱이 있는 ‘설치 옵션’ 창이 뜬다.
필요한 것에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눌러 코덱을 깐다.

9.PC가 자꾸 다운이 되면?

★원인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써서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너무 많아 충돌이 일어났거나
임시 인터넷 파일이 너무 많거나 윈도우즈 시스템 파일이 깨지면 PC가 자주 먹통이 된다.
★해결★
‘인터넷 등록정보’ 창을 띄워 임시 파일을 지우고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띄워 깨진 파일을 검색해 복원한다.


1. 임시 인터넷 파일을 지우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차례로 고르고
‘인터넷 옵션’을 누른다.
‘파일 삭제’ 버튼을 누르고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2. 깨진 윈도우즈 시스템 파일을 되살리자.
시작 버튼 → 실행을 눌러 ‘열기’ 칸에 sfc를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변경된 파일 검색’에 체크하고 ‘시작’ 버튼을 누른다.
윈도우즈 98을 처음 깔았을 때와 비교해서 바뀐 시스템 파일을 검사한다.
바뀌거나 지워진 파일을 찾으면 ‘파일 복원’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파일 복원’ 창이 뜨면 백업할 폴더를 골라 ‘확인’ 버튼을 누른다.

10.디스크 검사나 조각모음을 하면 계속 반복되거나 멈춘다면~

★원인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거나 개체 파일이 깨졌거나 윈도우즈가 쓸 시스템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메모리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대표적으로 V3나
노턴과 같은 백신 프로그램)이나 화면 보호기는 시스템 자원을 많이 잡아먹는다.
★해결★
디스크 검사나 조각모음을 하기 전에 백신 프로그램을 끄고 화면 보호기가 동작하지 않게 한다.
그런 다음 윈도우즈에 기본으로 들어 있는 ‘
디스크 정리’로 디스크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손상된 개체 파일을 지운다.


1. 백신 프로그램을 끈 뒤 바탕화면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정보’를 고른다.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이 뜨면 ‘화면 보호기’ 탭을 눌러 화면 보호기 ‘없음’으로 한다.


2. 디스크 정리를 하려면 시작 버튼 →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디스크 정리를 고른다. 정리할 드라이브를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 뒤
‘제거할 파일’ 칸의 모든 항목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3. ‘확인’ 버튼을 누른 뒤 ‘예’를 누르면 스스로 디스크 정리를 한다.


4. 깨진 개체 파일을 지우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고른다.
‘인터넷 옵션’을 눌러 설정 버튼 → 개체보기 버튼을 차례로 누른다.


5. 편집 → 모두선택을 고른 뒤 파일 → 삭제를 누른다.
‘프로그램 파일 제거’ 창이 뜨면 ‘예’를 누른다.
도중에 ‘이 프로그램은 삭제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합니다’는 메시지가 뜬다.
‘확인’을 누르고 계속 진행한다.
필요한 개체 파일은 다시 만들어지므로 지워도 아무 문제가 없다.

11.PC 속도가 갑자기 느려지면?...

★원인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거나 바이러스를 잡은 다음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해결★
V3나 노턴 안티바이러스 등과 같은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를 검사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서 깨진 파일이 생겼다면 깨진 파일이 쓰는 응용 프로그램을 다시 깔면 된다.
백신 프로그램을 띄워 바이러스를 검사한다.


12.가상 CD롬을 깔았더니 CD롬 드라이브를 알아채지 못할때~

★원인
가상 CD롬과 CD롬 드라이브가 서로 충돌했기 때문이다. c:\windows\system\rosebays 폴더에 있는 cdfs.vxd 파일을
바꾸었거나 깨졌을 때 CD롬 드라이브를 알아채지 못한다.
이것 때문에 CD롬 드라이브를 ‘이동식 디스크’로 잘못 인식하기도 한다.
★해결★
평가판 가상 CD롬을 지우고 정품 가상 CD롬 프로그램을 깐다.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눌러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눌러 가상 CD롬 프로그램 목록이 보인다.
그 목록을 더블클릭하면 프로그램 제거가 수행된다.
가상 CD롬 프로그램을 쓰지 않는다면 다른 PC에 담긴 cdfs.vxd 파일을 복사해와서
덮어쓰고 다시 부팅하면 CD롬 드라이브를 제대로 알아차린다.
‘프로그램 추가/제거’ 창에서 평가판 가상 CD롬을 지우고 정품을 깐다.

13.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데 치료가 안된다면..

★원인
윈도우즈가 쓰고 있는 파일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고칠 수 없다.
즉 윈도우즈가 돌아가고 있는 상태에서 바이러스에 걸린 파일을
윈도우즈가 쓰고 있는 중이라면 백신 프로그램이 파일을 고칠 수 없다.
★해결★
도스로 부팅해서 도스용 백신 프로그램으로 치료한다.
1.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고른 뒤 ‘시동 디스크’ 탭을 누른다.
A 드라이브에 플로피 디스크를 넣고 ‘디스크 작성’ 버튼을 누르면 시동 디스크가 만들어진다.
다른 플로피 디스크에 도스용 백신 프로그램인 ‘네오 V3’나 ‘바이로봇’을 복사한다.
2. 방금 디스크를 넣고 PC를 재부팅한 다음 백신을 담은 플로피 디스크를 넣어
도스에서 바이러스를 잡는다. A:\ 명령 프롬프트에 ‘C:’를 쓰고 엔터 키를 친다.
해당 파일을 찾아서 지우고 키를 눌러 재부팅한다.


14.시작 메뉴와 프로그램 창의 끝내기, 최소화 아이콘이 숫자나 이상한 문자로 나온다면..

★원인
끝내기나 최소화 아이콘이 숫자로 변하는 것은 ‘글꼴 파일 캐시’(TTFcache)가 깨졌기 때문이다.
★해결★
윈도우즈 폴더에 있는 글꼴 파일 캐시를 되살리면 된다.
글꼴 파일 캐시는 숨김 파일이다.
시작 버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탐색’을 고른다.
보기 → 폴더 옵션을 고르고 ‘보기’ 탭을 누른다.
‘모든 파일 표시’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c:\windows 폴더에서 ttfcache 파일을 찾아 지운다.
PC를 재부팅하면 ttfcache 파일은 다시 생긴다.
모든 파일 표시’에 체크하고 c:\windows 폴더에서 ttfcache 파일을 지운다.


15.치명적인 오류’라면서 파란 화면이 뜬다면..

★원인
윈도우즈 파일이 깨졌거나 필요 없는 시작프로그램 때문에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이
생겼을 때, 시스템 리소스가 부족할 때 이런 에러가 생긴다.
★해결★
치명적인 오류는 윈도우즈의 고질적인 오류다.
중요한 자료를 백업해놓고 윈도우즈를 다시 까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치명적인 오류’ 메시지가 뜨면 윈도우즈를 다시 깐다.

16.인터넷 속도가 점점 느려질때..

★원인
인터넷을 쓰면서 윈도우즈가 만드는 임시 파일이 많이 쌓여서다.
★해결★
윈도우즈가 만드는 임시 파일을 지운다.
임시 파일을 지우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고르고 ‘인터넷 옵션’을 누른다.
‘인터넷 등록정보’ 창이 뜨면 ‘파일 삭제’ 버튼을 누른 뒤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친다.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에 체크해 임시 파일을 지운다.

16.‘모듈 Kernel 32.dll에서 잘못된 페이지 오류’ 메시지가 뜨면..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띄우거나 쓰는 도중에 ‘모듈 Kernel 32.dll에서
iexplore, mprexe, msgsrv32, explorer, commgr32, guide.exe,msnviewr 등의 잘못된
페이지 오류가 발생했다다’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PC가 다운될 때가 있다.
이것은 메인보드에 얹은 메모리가 헐겁게 끼워졌거나 무리한 작업으로 망가졌기 때문이다.
★해결★
메모리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면 다시 꾹 눌러 끼운다.
PC를 부팅하거나 종료할 때 메모리가 망가져서 먹통이 될 수도 있다.
PC를 산 곳에서 메모리를 교환한다.
또 무리하게 CPU를 오버 클럭해도 이런 오류 메시지가 뜨기도 한다.
이럴 때는 이전의 클럭으로 다시 낮춘다.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보는데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원인
미디어 플레이어 버전이 낮거나 프로그램이 깨져서다.
또는 전용선 자체의 속도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해결★
소프트웨어 전문 사이트나 미디어 플레이어 사이트에 들어가 최신 미디어 플레이어 버전을
내려받아서 다시 깐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전문 사이트인 심파일(http://file.simmani.com)
에 들어가 검색 칸에 ‘미디어 플레이어’라고 치고 최신 버전을 골라서 내려받으면 된다.
최근에는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9.0 베타판까지 나왔다.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기 전에 회선을 점검해보자.
시작 → 실행을 고르고‘열기’칸에 ping -t -l 1024 www.yahoo.co.kr을 쓰고`확인’버튼을 누른다.
보이는 화면에서 time 값이 일정하게 나오면 종료를 하고 미디어 플레이어를 띄운다.
값이 일정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 업체에 문의해야 한다.
화면에서 time 값이 일정하게 나오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17.게임이 깔리지 않거나 깔아도 뜨지 않는다?...

★원인
게임이 돌아가지 않거나 에러가 나는 것은 대부분 시스템 장치나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파일에서 충돌이 일어난 것이다.
★해결★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에서 ‘장치 관리자’ 탭을 눌러 충돌이
일어나는 장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느낌표가 있는 장치는 장치끼리 충돌했다는 뜻이다.
느낌표가 뜬 장치는 Del 키를 눌러 지운다.
다시 부팅해서 윈도우즈가 새로운 드라이버를 찾으면 삭제한 장치 드라이버가 담긴
CD나 플로피 디스크를 넣어 드라이버를 깐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인터넷이나 PC통신에서 항상 최신 버전을 내려받아 업데이트한다.
장치 관리자’ 탭을 눌러 충돌이 일어나는 장치가 있는지 확인한다.

18.인터넷을 하면 화면이 자주 멈추는 등 먹통이 된다면..

★원인
대부분의 ADSL 외장형 모뎀을 쓸 때 생기는 문제다.
원인은 ADSL PPPo 가상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충돌해서다.
ADSL의 PPPO 가상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고정 IRQ를 쓰기 때문에 익스플로러의
주변 응용 프로그램과 부딪쳐서 다운되는 일이 생긴다.
★해결★
랜카드를 다른 PCI 슬롯에 꽂은 다음 ADSL 접속 프로그램을 다시 깔면 된다.
1. PC를 끈 뒤 전원 코드를 뽑고 케이스를 연다.
랜카드를 비어 있는 다른 PCI 슬롯에 꽂고 PC를 다시 켠다.
2. 시스템이 시작되면 랜카드 드라이버를 스스로 찾아서 설치한다.
드라이버가 저절로 깔리지 않으면 ADSL 접속 프로그램 CD를 넣고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을 고른다.
‘장치 관리자’ 탭을 눌러 느낌표가 뜬 네트워크를 두 번 누른 뒤
‘드라이버 다시 설치’ 버튼을 누른다.
이때 윈도우즈 98 설치 CD를 찾으므로 미리 준비해두자.

19.접속할 수 없는 홈페이지가 있다?...

★원인
몇몇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는 것은 해당 사이트의 웹서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다.
★해결
대형 사이트는 웹서버 점검 시간을 따로 두어 이용자가 홈페이지를 열어도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다.
대부분 e-메일이나 홈페이지 공지로 서비스를 잠깐 멈춘다는 내용을 알린다.
이때는 웹서버가 제대로 돌아갈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다.


20.아웃룩 익스프레스로 e-메일을 주고받을 수 없다?

★원인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메일 계정에 보내는 서버와 받는 서버를 잘못 써넣었기 때문이다.
★해결★
최근 e-메일은 웹메일과 e-메일 클라이언트로 나눈다.
웹메일은 한메일, 한미르 등 웹브라우저로 e-메일을 주고받는 형식이고,
e-메일 클라이언트는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 윈도우즈 응용 프로그램처럼 쓰는 형식을 말한다.
e-메일 클라이언트는 웹메일처럼 용량제한이나 한번에 주고받을 수 있는 파일 크기 제한이 없지만
e-메일 서버 이름인 POP3나 SMTP 서버를 알아내서 써넣어야 한다.
POP3와 SMTP 서버를 모른다면 인터넷 회선 제공업체에 전화를 걸어 알아낸다.
1.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띄운 다음 도구 → 계정을 누른다.
‘추가’ 버튼을 눌러 ‘메일’을 고르고 이용자 이름을 적는다.
2. 쓰고 있는 e-메일 주소를 적는다.
3. 받는 메일 서버인 POP3와 보내는 메일 서버인 SMTP를 적는다.
POP3와 SMTP 서버 이름은 하나로통신은 mail.hananet.net이고 넷츠고는 netsgocom이다.


21.인터넷에서 파일을 내려받을 수 없다면..

★원인
갖가지 인터넷 이어받기 프로그램 때문에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파일을 제대로 내려받을 수 없는 것이다.
★해결★
다운로드 엑셀레이더, 겟라이트, 다운로드 메이지 등 갖가지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지운다.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의 프로그램추가/삭제 창을 띄운다.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고른 뒤 ‘추가/제거’ 버튼을 누른다.


22.모니터 해상도가 바뀌지 않으때..이크 오타다...+_+:
★원인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해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응용 프로그램을 깔 때 깨지기도 한다.
이때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다시 깔면 된다.
1.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CD를 CD롬에 넣는다.
드라이버 CD는 PC를 살 때 같이 따라온다.
없으면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의 자료실에서 내려받는다.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고른 뒤 ‘설정’ 탭의 ‘고급’ 버튼을 누른다.
2. ‘어댑터’ 탭을 누르고 ‘변경’ 버튼을 누른다.
3. ‘다음’ 버튼을 누르고 ‘드라이버의 목록을 만든 후 원하는 드라이버 선택’을 고르고
‘다음’ 버튼을 누른다.
4. ‘검색할 위치 지정’을 체크하고 ‘찾아보기’ 버튼을 누른다.
‘폴더 찾아보기’ 창이 뜨면 드라이버가 담긴 CD를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눌러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깐다.


23.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우려고 하면 엉뚱하게 탐색기가 뜬다?

★원인
아웃룩 익스프레스나 웹메일에서 링크한 주소를 누르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뜨지 않고 엉뚱하게
탐색기가 뜬다. 이것은 윈도우즈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기본 웹브라우저로 등록되지 않아서다.
★해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기본 웹브라우저로 등록한다.
1.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고른 뒤 ‘인터넷 옵션’ 아이콘을 눌러
‘인터넷 등록정보’ 창을 띄운다.
2.‘프로그램’탭을 열어‘시작할 때 기본 브라우저 확인’을 체크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24.장치 관리자에 알 수 없는 장치가 충돌했다면?..

★원인
‘알 수 없는 장치...’라는 오류 메시지가 뜨는 것은 하드웨어를 추가할 때나 윈도우즈를
새로 깔 때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깔지 않아서다.
★해결★
‘알 수 없는’ 장치는 지우고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다시 깐다.
알 수 없는 장치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면 PC를 구입한 업체에 문의하거나 PC에 단
부품을 보고 드라이버를 잡지 않은 장치를 알아낸다.


1. 시작 버튼 → 제어판 → 시스템을 골라 ‘장치 관리자’ 탭을 누른다.
‘알 수 없는 장치’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거’를 골라 없앤다.


2. 제어판에서 하드웨어 추가/삭제 아이콘을 눌러 ‘자동으로 하드웨어를 찾기’를 수행한 뒤
그래픽카드와 사운드카드, TV카드 등의 드라이버를 깐다.


25.PC를 켜면 ‘윈도우즈 파일이 손상이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원인
응용 프로그램이나 윈도우즈가 지닌 프로그램을 쓸 때 시스템 파일을 열거나 닫는 도중에 깨져서다.
★해결★
망가진 윈도우즈 시스템 파일을 되살린다.
1. 시작 버튼 →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시스템 정보를 차례로 고른다.
도구 →시스템 파일 검사기를 눌러 망가진 파일을 검사한다.
2. 망가진 파일을 찾으면‘설치 디스크에서 한 파일의 압축 해제’에 체크해 시스템 파일을 되살린다.


26.PC가 이유 없이 멈춰?..

★원인
1998년에 나온 윈도우즈는 그 뒤 나온 메인보드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
최신형 메인보드가 부리는 재주를 인식하지 못해 에러를 내는 것이다.
★해결★
최신형 메인보드를 제대로 알아차리게 하는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깔면 에러를 막을 수 있다.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에서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찾아서 내려받는다.
예를 들어 비아 칩셋을 얹은 메인보드를 쓴다면 심파일 사이트(http://file.simmani.com)
등의 검색 칸에 ‘via’라고 쓰고 ‘검색’ 버튼을 누른다.
VIA 칩셋 메인보드 드라이버 "VIA 4-in-1" v4.35를 골라 내려받는다.
내려받은 setup 파일을 눌러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깐다.
인터넷 등에서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내려받아서 깐다.


27.인터넷 익스플로러 내용관리자에 넣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다면..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내용관리자는 ****, 폭력 사이트에 이용자가 접속하지 못하게
비밀번호를 넣어 막는다.
하지만 내용 관리자의 버그나 잘못된 이용으로 인터넷을 제대로 쓸 수 없을 때가 있다.
이것은 ratings.pol 파일이 깨져서다.
★해결★
내용 관리자 비밀번호를 알고 있다면 ‘등급 사용’을 푼다.
암호를 잊어버렸다면 c:\windows\system 폴더에 있는 ratings.pol 파일을 지운다.


1.내용 관리자에서‘등급 사용’을풀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의`인터넷 옵션’버튼을 누른다.
‘내용’ 탭을 눌러 ‘사용 안함’ 버튼을 누른다.
암호를 적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 대화 상자를 다시 표시 안함’에 체크하고 다시 ‘확인’을 누른다.


2. 암호를 잊어버렸다면 레지스트리에서 암호를 지워야 한다.
우선 윈도우즈 탐색기를 띄워 도구 → 폴더 옵션으로 간다.
‘보기’ 탭의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3.윈도우즈의 시스템 폴더인 c:\windows\system에서 Ratings.pol 파일을 찾아서 지운다.


4, 시작 버튼 → 실행을 눌러 열기 칸에 regedit를 쓰고‘확인’버튼을 누른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Policies\Ratings를 차례로 눌러 오른쪽 창에서 key 값을 지운다.


28.제어판의 프로그램/추가 삭제 창에서 프로그램을 지웠는데 목록에 그대로 남아 있다?

★원인
응용 프로그램이 제대로 지워지지 않아서다.응용 프로그램 중에 깨진 파일이 있거나
레지스트리에서 지워지지 않을 때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 그대로 남는다.
★해결★
시작 버튼 → 실행을 고르고 열기 칸에 regedit를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로 들어가
지운 프로그램 중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 목록에 남아 있는 프로그램 이름을 고르고 Del 키를 눌러 지운다.
레지스트리 창을 띄워 프로그램 추가/제거 목록에 남아 있는 프로그램을 지운다.


29.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글자 크기가 커지거나 깨져 나온다...?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텍스트 크기 설정을 잘못 했거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오류의 문제이다.
★해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운 뒤 보기 → 텍스트 크기 → 보통을 누른다.
다시 보기 → 인코딩 → 자동을 누른다.그런 다음 제어판에서
‘인터넷 옵션’ 아이콘을 눌러 ‘일반’ 탭의 ‘글꼴’ 버튼을 누른다.
언어 스크립트를 ‘한국어’로 정하고 ‘확인’을 누른다.
다시 ‘언어’ 버튼을 눌러 ‘한국어’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운 뒤 보기 → 텍스트 크기 → 보통을 누른다.


30.‘인터넷 익스플로러 스크립트 오류’ 메시지가 떠?..그게 왜떠?ㅋ  

★원인
스크립트란 만든 이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게 내리는 명령서와 같다.
홈페이지 만든 이가 잘못된 스크립트 명령어를 썼기 때문이다.
★해결★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서 ‘인터넷 옵션’ 아이콘을 누른다.
‘고급’ 탭을 눌러 ‘스크립트 디버깅 사용 안함’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인터넷 등록정보’ 창을 띄워 ‘스크립트 디버깅 사용 안함’에 체크한다.


31.윈도우즈가 시작되면서 뜨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창을 없애고 싶을때~

★원인
이용자가 비밀번호를 넣었거나 네트워크 환경에서 윈도우즈를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로 골라서다.
★해결★
비밀번호를 묻는 창을 없애려면 암호를 담은 pwl 파일을 지우면 된다.


1. 윈도우즈 탐색기를 띄워 보기 → 폴더 옵션으로 간다.
‘보기’ 탭을 눌러 ‘숨김 파일 및 폴더 표시’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2. 시작 버튼 → 찾기 → 파일 또는 폴더를 고른다.
‘이름’ 칸에 ‘*.pwl’을 쓰고 지금 찾기 버튼을 누른다.
찾아진 모든 파일을 지운다.


3.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누른다.
‘기보 네트워크 로그온’ 항목에서 windows 로그온을 골라
‘확인’ 버튼을 눌러 윈도우즈를 다시 시작한다.


32.윈도우즈 보조 프로그램을 쓸 때 ‘파일 손상 오류’가 뜬다... 헐~ 

★원인
보조 응용프로그램이나 시스템 도구 프로그램 파일이 망가졌기 때문이다.
★해결★
보조 프로그램과 시스템 도구를 다시 깐다.
1. 윈도우즈 98 CD를 넣고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
아이콘을 띄워 ‘윈도우즈 설치’ 탭을 누른다.
2. ‘구성요소’ 항목에서 보조 프로그램과 시스템 도구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 윈도우즈를 다시 시작한다.


33.윈도우즈가 시작이 될 때 이상한 프로그램이 뜬다?

★원인
시작프로그램에 응용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다.
★해결★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 아이콘을 지운다.
시작 버튼 → 프로그램 → 시작 프로그램을 고른다.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삭제’를
골라 모두 지운다.‘삭제’를 골라 시작 프로그램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지운다.


34.회원가입을 한 홈페이지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쓰면 한참 뒤에야 입력이 된다면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메뉴 중에는 ‘자동완성’이 있다.
이것은 익스플로러 주소 창에 사이트 주소를 적으면 지금까지 접속한 사이트 중 가장 비슷한
내용을 보여주는 일을 한다. 시스템 제원이 낮거나 자동 완성 기록이 깨지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해결★
‘자동완성 사용 대상’을 모두 해제한다.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 들어가 ‘인터넷 옵션’을 띄운다.
‘내용’ 탭의 ‘자동 완성’ 버튼을 눌러 ‘자동 완성 사용 대상’ 항목의
체크 표시를 모두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자동 완성 사용 대상’ 항목의 체크 표시를 모두 없앤다.


35.아웃룩이 작동하지 않거나 속도가 느리면..

★원인
Win32/FunLove.4099 바이러스에 감염되어서다.
이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옮겨다니면서 exe 파일을 감염시켜 프로그램을 망가뜨린다.
이때 인터넷 속도가 느려진다.
★해결★
V3나 노턴 안티 바이러스와 같은 백신 프로그램을 써서 바이러스를 잡아낸다.


36.익스플로러를 띄우면 하드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다?

★원인
인터넷 임시폴더와 시스템 임시폴더에 쓸데없는 임시 파일이 많이 쌓이면 이런 메시지가 뜬다.
★해결★
하드디스크 용량을 아끼려면 인터넷 임시폴더와 시스템 임시폴더에 담긴 필요없는 파일을 모두 없앤다.
1. 윈도우즈 탐색기를 띄워 c:\windows\temp 폴더에 있는 파일을 모두 지운다.
2. 임시 인터넷 파일을 지우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을 차례로 고르고
‘인터넷 옵션’을 누른다.
‘파일 삭제’ 버튼을 누르고 ‘오프라인 항목을 모두 삭제’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37.동영상과 음악 파일을 누르면 리얼플레이어만 뜬다구?....^^*

★원인
동영상과 음악 파일이 리얼플레이어로 연결되어 있어서다.
★해결★
동영상과 음악 파일 연결 프로그램을 다른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 고친다.
동영상 파일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연결 프로그램’을 고른다.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고른 뒤 ‘이 파일을 열 때
항상 이 프로그램을 사용’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다음부터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을 고르면 미디어 플레이어가 뜬다.
연결 프로그램 창에서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고른다.


38.익스플로러에서 중국어나 일본어 글자가 깨져?...??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 언어설정이 잘못 되었거나 언어 팩이 없어서다.
★해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중국어나 일본어와 같은 다른 나라 글자를 표시할 때
언어팩이 깔려 있어야 한다.
언어팩은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사이트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언어팩을 깔았어도 글자가 깨지면 도구 메뉴를 열어 원하는 나라의 언어를 고르면 된다.
시작 버튼 → windows update를 눌러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사이트에 들어간다.
검색 탭을 눌러 microsoft를 고른다.
검색 칸에 ‘언어 팩’을 쓰고 언어 팩 목록이 뜨면 알맞은 것을 골라 내려받는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워 보기 → 인코딩 → 추가를 눌러 해당 언어를 고른다.
윈도우즈 업데이트 사이트에 들어가 언어 팩을 내려받는다.


39.윈도우즈 배경화면이나 색상 조정이 안된다?...

★원인
배경화면을 골라도 깔리지 않고 16비트, 32비트 컬러가 바뀌지 않는 것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제대로 깔려 있지 않거나 깨져서다.
★해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다시 깔면 배경화면이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드라이버를 깔려면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CD를 넣는다.
드라이버 CD는 PC를 살때 같이 온다.
없다면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의 자료실에 내려받는다.


1.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누른다.
‘설정’ 탭의 ‘고급’ 버튼을 누른 뒤 ‘어댑터’ 탭의 ‘변경’ 버튼을 누른다.


2.다음’버튼을 누른뒤 기존의 드라이버보다 나은드라이버
`검색’을 고르고`다음’버튼을 고른다.


3. ‘검색할 위치 지정’을 체크하고 ‘찾아보기’ 버튼을 누른다.
‘폴더 찾아보기’창이뜨면 드라이버가 담긴 CD를고르고
`확인`버튼을 눌러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깐다.


40.인터넷 익스플로러 시작페이지 설정 오류가 뜨고 기본 홈페이지가 바뀌지 않을때..

★원인
특정 사이트의 악성 프로그램이 깔린 것이다.
★해결★
시작 버튼 → 찾기 → 파일 또는 폴더를 고른다.
이름 칸에 ga3iserv.exe를 쓰고 ‘지금 찾기’ 버튼을 누른다.
찾은 ga3iserv.exe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의 ‘삭제’를 골라 지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우고 주소 칸에 www.toolbarpromotions.com/custservice/removal.exe를 쓴다.
엔터 키를 누르고 ‘현재 위치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행’을 체크하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ga3iserv.exe 파일을 찾아서 지운다.


41.인터넷에서 채팅 창이 뜨지 않는다면...애 닳죠.. ^^*

★원인
대부분 인터넷 채팅 사이트는 자바 스크립트를 써서 채팅 창을 띄운다.
윈도우즈에 자바 스크립트 명령을 알아채는 자바를 깔아야 한다.
★해결★
자바를 깔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업데이트 사이트에서 자바를 내려받아야 한다.
업데이트 항목에서 자바를 골라 업데이트하자.
1.익스플로러를 띄우고 도구 → windows update를 눌러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사이트에 들어간다.
2. 왼쪽의 제품 업데이트’를 누른뒤 권장 업데이트에서 microsoft virtual machine을 체크한다.
3.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내려받은 다음 다시 부팅한다.


42.인터넷 익스플로러 5.5 버전에서 한글이 깨질때는...
★원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우리말을 알아채게 하는 유니코드를 써서 한글을 표시한다.
유니코드를 쓸 때 문제가 생긴 것이다.
★해결★
UTF(universal transformation format)란 16비트 유니 코드 문자들을 7비트나 8비트 문자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작동하지 않게 막으면 유니코드 문자인 한글이 제대로 뜬다.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서 ‘인터넷 옵션’ 아이콘을 누른다.
‘고급’탭을 눌러‘URL을 항상 UTF-8으로 보냄’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확인’버튼을 누른다.
‘URL을 항상 UTF-8으로 보냄’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43.윈도우즈 2000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깔리지 않고 관리자가 아니라는 메시지가 뜨면..

★원인
몇몇 응용 프로그램은 관리자로 로그인해서 깔아야 제대로 돌아간다.
★해결★
윈도우즈 2000에서 이용자 계정이 아닌 administrator로 로그인하면 깔리지 않던 응용 프로그램이 깔린다.
시작 버튼 → 시스템 종료를 누른 뒤 ‘로그오프’를 고른다.
‘확인’ 버튼을 누르고 로그인 창에서 ‘administrator’로 계정과 암호를 쓰고 로그인한다.
‘administrator’로 계정과 암호를 쓰고 로그인한다.


44.리소스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자주 나올때..

★원인
바탕화면 테마 등으로 바탕화면을 화려하게 꾸미고 자동 수행 프로그램을 많이 등록하면
리소스 낭비가 심해져 이런 메시지가 뜬다.
★해결★
바탕화면 그림이나 효과음, 자동수행 프로그램 등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것들을 없앤다.


1. 바탕화면 그림을 지우려면 바탕화면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정보’를 고른다.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이 열리면 ‘배경 무늬’ 칸에서 ‘없음’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바탕 그림이 사라지면 약 2%의 리소스가 절약된다.


2. 효과음을 없애려면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사운드를 누른다.
스크롤 바를 밑으로 내려 ‘windows 시작’을 체크한다.
‘이름’ 칸의
▼버튼을 눌러‘없음’을 고르고‘확인’버튼을 누르면 PC가 켜질 때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다.


3. 작업 표시줄 오른쪽‘트레이’에 자리 잡은 자동 수행 프로그램을 정리하려면
시작 버튼 → 실행을 눌러 ‘실행’ 창을 띄운다.
‘열기’ 칸에 msconfig라고 쓰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뜨면 ‘시작 프로그램’ 탭을 누른다.
스크롤 바를 위아래로 움직여 자동 수행을 막으려는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 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PC가 재부팅되면 체크 표시를 없앤 것이 수행되지 않는다.


45.부팅할 때 이상한 오류 메시지가 뜨면..기분 나쁘죠~

★원인
윈도우즈가 시작되고 나서 뜨는 오류 메시지는 시작 프로그램 가운데 깨지거나 망가진
응용 프로그램이 있어서다.
★해결★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한 프로그램을 없애 오류 메시지가 뜨지 않게 한다.
시작 버튼 → 실행을 띄우고 열기 칸에 ‘msconfig’를 쓴 뒤 엔터 키를 친다.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창이 뜨면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레지스트리 검사
TaskMonitor, SystemTray, LoadPowerProfile만 놔두고 나머지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한 프로그램을 없앤다.


46.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주소창이 없어졌다면..

★원인
키를 잘못 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설정 옵션이 전체 화면으로 바뀐 것이다.
★해결★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우고 F11 키를 누르면 다시 주소 창이 뜬다.


47.인터넷을 띄우면 ‘프록시 서버를 찾는 중...’ 메시지가 뜰때 있죠~

★원인
인터넷 환경설정에서 프록시 서버 설정 부분에 체크가 되어 있어서다.
★해결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설정된 프록시 서버 사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제어판을 띄워 ‘인터넷 옵션’ 아이콘을 누른다.‘연결’ 탭을 눌러 ‘LAN 설정’ 버튼을 친다.
‘프록시 서버 사용’ 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프록시 서버 사용’ 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48.****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게 하고 싶을때..

★원인
인터넷에서 **** 유해사이트를 미성년자가 접속하지 못하게 하려면
****유해차단 프로그램을 깔면 된다.
★해결★
유해 차단 프로그램은 상용과 무료 제품으로 나뉜다.
상용 프로그램으로는 ‘수호천사pro’(www.plustech.co.kr)와 ‘지킴이’(www.jikimi.net) 등이 있다.
공짜 프로그램으로는‘넷피아 그린’(www.webclean21.org)등이 있다.이들 사이트에 들어가
설치 프로그램을 내려받은 다음 설치 창이 안내하는 대로 따라하면 프로그램이 깔린다.
‘넷피아 그린’ 등의 사이트에 들어가 프로그램 내려 받기 버튼을 누른다.


49.다이얼 패드를 쓸 때 내 목소리가 상대방에게 전해지지 않는다면..

★원인
마이크를 설정하지 않았거나 사운드카드가 양방향 사운드를 내지 못해서다.
★해결★
양방향 사운드란 녹음과 동시에 스피커로 재생한다는 뜻이다.
최근에 나온 사운드카드는 기본적으로 양방향 사운드를 내지만 ISA 슬롯에 꽂는 구형
사운드카드는 낼 수 없다. 때문에 양방향 사운드를 내는 사운드카드를 새로 사서 바꿔 낀다.
1.작업표시줄 오른쪽에 있는 스피커 아이콘을 두 번 눌러 띄운다. 옵션 → 등록정보를 고른다.
2. ‘녹음’에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 다음 마이크 볼륨을 가운데로 맞춘다.
상대방이 소리가 작게 들린다고 하면 마이크 볼륨을 조금씩 키운다.


50.응용 프로그램을 깔 때 ‘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뜨면..

★원인
하드디스크 공간이 부족하면 이런 메시지가 뜬다.
★해결★
필요없는 mp3나 동영상 파일, 응용 프로그램을 지운다.
c:windows\temp 폴더에 담은 임시파일도 모두 지워 용량을 확보한다.


51.윈도우즈 98 제품번호를 알고 싶다면..

★원인
윈도우즈 98 제품번호는 설치 CD와 따로 두기 때문에 종종 잃어버린다.
★해결★
레지스트리에서 제품번호를 찾는다.
윈도우즈 98을 깔 때 입력하는 제품번호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된다.
시작 버튼 → 실행에 들어가 ‘열기’ 칸에 ‘regedit’를 쓰고 엔터 키를 친다.
레지스트리 편집창이 뜨면 HKEY_LOCAL_MACHINE 키를 더블클릭한다.
HKEY_LOCAL_MACHINE 하위 목록이 나오면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을

차례로 눌러 오른쪽 창에서 ‘ProductKey’를 찾는다. ProductKey 내용을 보면 윈도우즈 98 제품번호가 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띄워 윈도우즈 제품번호를 찾는다.


52.윈도우즈 바탕화면에 웹사이트를 띄우려는데 안될때..

★원인
윈도우즈 바탕화면에 웹사이트를 띄우려면 바탕화면을 액티브 데스크탑으로 바꿔야 한다.
★해결★
1.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 → 디스플레이를 열어서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창을 띄운다.
‘웹’탭을 눌러‘액티브 데스크톱을 웹페이지 형식으로 보기’에 체크하고‘새로 만들기’버튼을 누른다.
2. ‘위치’ 칸에 띄우려는 웹사이트 주소를 적는다.
3. 적용 → 확인 버튼을 누르면 바탕화면에 웹사이트가 뜬다.


53.윈도우즈를 시작하거나 끝낼 때 나는 소리를 없애고 싶다면..

★원인
윈도우즈는 기본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때 소리가 난다.
★해결★
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 들어가 사운드를 두 번 누른다.
윈도우즈 2000이라면 ‘사운드 및 멀티미디어’ 아이콘을 누른다.
사운드 구성표 항목의 ▼ 버튼을 눌러 ‘소리 없음’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즈가 시작되거나 끝날 때 소리가 나지 않는다.
사운드 등록정보 창을 띄워 ‘소리 없음’을 고른다.


54.마우스를 누르면 윈도우즈가 소리를 냈는데.. 지금은 안 나온다면..

★원인
윈도우즈 소리 설정이 바뀌면 이런 현상이 생긴다.
★해결★
윈도우즈 소리를 넣어보자.시작 버튼 → 설정 → 제어판에 들어가 `사운드’아이콘을 누른다.
‘상황’ 칸에서 ‘탐색을 시작할 때’를 누르고 사운드 이름 항목에서 start.wav를 고른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마우스를 누를 때 윈도우즈가 소리를 낸다.

 

 

 

<3>  컴을 최대 성능으로 사용하는 방법

 

*********** 필요한 부분만 사용하셔도 됩니다 ***********


1. * Windows폴더 -> Prefatch폴더안에 *.pf 파일들을 모두 삭제한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레지 건드는 위험한 팁이 아니니 한번 시도해 보세요.
그런데, 윈도우 사용하다보면 pf파일이 또다시 쌓이게 됩니다.
주기적으로 지워줘야 한다는...

2. * 웹페이지 로딩을 빠르게
윈도탐색기 -> 도구 -> 폴더옵션을 선택하신 후 [보기]탭에 보시면
[네트워크 폴더 및 프린터 자동검색]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의 선택을 지운다.
프린터 자동검색을 해제하시면 웹페이지가 단번에 뜹니다.

3. * 화면 이동을 부드럽게?
익스플로러에서 화면 이동할때 마우스의 휠기능을 사용하는데
좀 무겁게 느껴진다거나 끊기는 느낌이 있을 때 유용한것 같네요.
특히 저 사양 컴퓨터에서..익스플로러 -> 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 부드러운 화면이동 체크를 해제.

4. * 프로세서 사용계획 수정
내컴퓨터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속성 들어가서
고급 성능옵션 고급 탭에서 프로세서 사용계획이란게 있습니다.
여기에서 백그라운드서비스와 시스템캐시에 체크를 하고 재부팅해보세요.
전보다 멀티테스킹이 빨라진 느낌이 드실겁니다.

5. * 메뉴 팝업속도 높이기
시작을 클릭 하거나 하위 프로그램메뉴가 나타날때
속도를 높이는 레지수정방법입니다.
(1).시작-실행-regedit
(2).다음 경로를 찾아갑니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
(3).여기서 MenuShowDelay 의 값을 더블 클릭해서 원하는 값으로 변경해주면
메뉴팝업속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최소 0(가장 빠름)~65534(가장 느림)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윈도 9X/me의 경우 기본 값이 250이고 윈도 XP/2000/NT의 경우 400입니다
기본보다 빠르게 설정하려면 값을 400보다 낮게 설정하면 되겠죠

6. * 윈도우 XP 인터넷익스플로러 로딩속도 향샹법
(1) DNS캐쉬수정으로 브라우저속도 높이기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DnscacheParameters에서
다음항목의 값을 입력한다(없으면 새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DWORD값-10진수로 만든다)
※. 반드시 10진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achehHashTableBucketSize--->1 CachehHashTableSize-------->384
MaxCacheEntryTtlLimit------>64000 MaxSOACacheEntryTtlLimit---->301

7. * 폴더창 속도향상하기
제어판에서 [폴더옵션]을 실행한 다음, [보기]=>[고급설정] 부분에서
[폴더 및 바탕화면 항목에 팝업 설명 표시]와
[압축된 파일과 폴더를 다른 색으로 표시] 그리고,
[독립된 프로세스로 폴더창 실행]의 체크를 해제하여 속도 향상

8. *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윈도우즈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창의 최대화, 최소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도
속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그 속도를 높여주는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windowmetrics 로이동
우측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문자열 값]을 선택하고 MinAnimate라고 입력한다.
그 다음 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이것으로 창이 열리거나 닫힐때 최대화,
최소화 애니메이션 표시가 되지 안아
창의 표시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9. * 폴더를 열었을때 파일 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 속도 향상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Update로 이동하여,
오른쪽 창의 [UpdateMode] 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고
수정을 선택, value를 1에서 0으로 바꾼다.

10. * L2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
Secondlevel Datacache(L2Cache) 는 CPU의 작업속도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펜3코퍼마인에 내장된 CPU와 같은 속도로 동작하는 이 빠른 L2캐쉬에
데 이타를 일정량 올려놓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엄청 느린 메모리로만 ?> ?謙?를 처리할 때보다
작업효율이 더욱 뛰어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XP가 cpu와 L2Cache의 값을 자동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종 XP가 이것을 할 수 없을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cpu의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값을 조작해줘야 한다.

(1).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
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에서
오른쪽에 SecondLevelDataCache항으로 간다.

(2).자신의 cpu에 맞는 10진수 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AMD Duron → 64입력 CeleronA/celeron2 → 128입력 PII mobile/PIII E(EB)
(칩형태 256K L2캐쉬내장 펜3 코퍼마인)
/P4/AMD K6-3/AMD THUNDERBird/Cyrix III → 256입력
AMD K6-2/PII/PIII katmai(초기 카트리지형식 펜3 카트마이)/AMD Athlon →
512입력 PII Xeon/PIII Xeon → 1024입력

(3). 재시작한다.

11. * 캐쉬메모리 체적화로 속도 높이기
디스크캐시는 윈XP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렇지만,
XP의 기본 입출력 페이지 파일 셋팅은 매우 민감해서
XP의 작업속도를 제한하게 된다.
다음은 램 의 크기에 따른 몇 가지 값들이다.
램의 크기에 맞게 다음을 수정하시면,
xp의 작 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1).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
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IoPageLockLimit 에서

(2). 자신의 램 사이즈에 맞는 16진수(hex)값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64M: 1000; 128M: 4000; 256M: 10000; 384M: 22000; 512M or more: 40000.

(3). 재시작한다.

12. *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윈도우 XP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정지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응답이 기다리는 시간이 설정되어 응답이 없으면
해당프로그램을 정지시킨다 이 타임아웃시간을 조절해서
윈도우 XP 정지시간을 줄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수정(실행=>regedit)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Desktop]에서
HungAppTimeout의 다음 값이
기본적으로 5000(5초)으로 설정되어있을 것이다.
이 값을 더블 클릭해서 1000 (1000 = 1초)로 설정해준다

13. * msconfig에서 필요 없는 서비스항목 해지하여 부팅속도 올리기
(그만큼 윈도우시작시 불필요한 인식을 안해서 좋으나,
신중히 고려해보고 해제하는 것이 좋을 듯)

(1).Automatic Updates(자동업데이트 기능)
=>해제하시면 수동으로만 업데이트됩니다.

(2).Help and Support (도움말 및 지원센터)
=>윈도우 도움말이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면 해제.

(3).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
=>인터넷외의 인트라넷, 원격제어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4).Performance Logs and Alert!!s
(원격제어시 원격 컴퓨터의 정보등을 수집하는 서비스)
=> 원격제어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5).Portable Media Serial Number
=>컴퓨터에 연결된 휴대용 음악장치의 시리얼넘버 검색을 사용하지 않으면 해제

(6). Secondary Logon =>다른 계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단독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해제.

(7).Smart Card Helper
=>플러그 앤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스마트 카드를 지원하도록 설정.
=>레거시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당근 해제.

(8). System Restore Service
=> 시스템 복원 서비스... 시스템 복원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제.
(이거는 필요 한 듯 XP에 문제가 발생될 때 시스탬을 복원할 필요가 있음)

(9).Telnet
=>원격 사용자가 이 컴퓨터에 로그온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UNIX 및 Windows 기반 컴퓨터를 포함한
다양한 TCP/IP 텔넷 클라이언트를 지원.
말 그대로... 이런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해제.

14. * 저 사양 컴터에서 XP 잘 돌아가게 하는 방법
XP를 저 사양 컴터에서 벅벅대지 않고
잘 돌아가게 하려면 다음을 설정한다

(1).제목표시줄 오른쪽마우스 클릭 -> 속성 ->
시작메뉴 -> 이전시작메뉴 : 윈도우 예전 메뉴로 설정됨

(2).내컴퓨터 -> 속성 -> 고급 ->
(시각효과,프로세서일정,메모리사용및가상메모리 시각효과에서
사용****정으로 한후 모든 콤보박스 체크해제
(단,[바탕화면의 아아콘 레이블에 그림자사용] 항목만 설정하여
바탕화면 아이콘을 투명화 조치한다.
※. 일반 컴에서도 화려한 XP창이 필요치 않을시
이 방식 적용하면 속도 향상 효과를 보게 됨

15. * XP> > 시작할 때 새로운 시작 화면 안뜨게 하기
XP시작할 때 새로운 시작하면서 화면이 뜹니다.
제거할려면 먼저 제어판 => 사용자 계정에 가시면 사용자 계정 창이 뜹니다.
거기서 [사용자 로그온 또는 로그오프 방법 변경]에 가시면
[새로운 시작 화면 사 용]이 있습니다.
새로운 시작이 뜨면 새로운 시작 화면 사용에 체크가 되어 있겠죠
그 체크 표시를 안하면 이제 부터 새로운 시작화면 이 안뜹니다.

16. * 시스템에 랜카드가 꼽혀있는 분들은
아마 로그온 후 부팅속도가 상당히 늦으실 겁니다..
이건 윈2000이나 98SE도 마찬가지죠..
이건 랜카드 설정시간 때문인데요.. 방법이 있습니다.
※ 전용선은 안돼요~
우선 [제어판]=>[네트워크 등록정보]까지 갑니다.
오른편 [랜카드아이콘]에서 오른쪽 버튼 누르시고 등록정보 들어갑니다.
거기서 IP자동 할당 말고 할당된 IP사용 에 체크하시고
IP주소를 192.168.0.1로 넣어주시면
서브네스 마스크는 자동으로 255.255.255.0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확인 누르신 다음 리부팅해 보시면 부팅속도가
빨라진 것을 현저히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이건 ADSL외장형이나 케이블모뎀 사용자에게만 해당되는 방법입니다.
전용선은 어차피 IP를 할당받기 때문

17. * 윈도우 탐색기를 좀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
일단 시작버튼-> 실행을 선택한 후 ->
regedit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엽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여기에 update 로 가서 오른쪽에 보면 updatemode라고 있을겁니다.
updatemode에서 오른쪽 버튼 눌러서 수정해주면..값이 나오는데. 0000 01 이라고 아마 나올겁니다..
거기서 01을 00으로 고쳐주면 됩니다..
아마 0만 치면..자동으로 00 이 될겁니다..
이렇게 하시고 윈탐색기를 실행시켜서..
폴더를 돌아다니다 보면..좀 빨라졌다는걸 느끼실 겁니다..

18. * CMOS SETUP설정으로 PC속도 향상하기(하드웨어)
만약 당신이 다른 사람과 똑같은 사양의 컴퓨터를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컴퓨터의 부팅시간이 배이상이나 느릴 때는
CMOS SETUP설정을 제대로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바이오스 조정에 대한 몇 가지 팁을 알려 드립니다.
밑에 설명들을 보시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만 설정을 해주시면
빠른 부팅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19. * Standard CMOS Setup
시스템 날짜나 시간,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다룬다.
부팅 속도와 관련된 메뉴는 halt on과 hard disks type다.

20. * hard disks type
1∼47(user)/auto 타입이 있다. auto로 하면 PC를 켤 때마다
하드디스크와 CD롬 드라이브를 검색해서 윈도우즈에 알려준다.
하드디스크를 자주 떼었다 붙이는 사람은 auto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user type으로 시스템에 달린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직접 등록한다.
그 결과 하드디스크와 CD롬 드라이브를 검색하지 않으므로
부팅 속도가 15% 정도 빨라진다.

21. * halt on
부팅 중간에 키보드에 불이 깜박 들어온다.
키보드가 제대로 달렸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값은 no error, all error, all but keyboard/
all but disk/ all but disk key등이다.
키보드 검사 시간을 줄이려면 no error로 한다.

22. * BIOS Features Setup
CPU 캐시를 쓸 것인가, 부팅이 될 때 바이러스를 검사할 것인가,
메모리 검사를 몇 번 할 것인가를 정한다.
모두 부팅 속도와 관련되었다.

23. * anti virus protection
시스템을 켜거나 하드디스크 부트 섹터에 쓰기를 할 때
바이러스를 발견하면 작동을 멈추고 에러 메시지를 띄운다.
값을 enabled로 하면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과정을 건너뛴다.

24. * CPU internal cache
램은 CPU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려 둘 사이에 병목 현상이 생긴다.
이 문제를 막는 것이 캐시다.
CPU internal cache는 이름 그대로 CPU에 달려 있는 캐시다.
이것은 CPU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
기본 값인 enabled를 그대로 둬 작업 속도를 높인다.
셀러론 CPU에는 캐시가 없다.

25. * external cache
external cache는 메인보드에 달린 캐시를 이용해 병목 현> > 상을 줄인다.
L2 캐시라고도 부른다.
CPU internal cache와 마찬가지로 값을 enabled로 한다.

26. * quick power on self test
quick power on self test는 포스트(POST)를 재빨리 처리한다는 뜻이다.
포스트는 전원 버튼을 누른 뒤 윈도우즈가 뜰 때까지 과정을 말한다.
물론 이 작업은 아주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부팅이 끝난 뒤 시스템에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PC는 철저하게 검사하지 않아도 될 만큼 성능이 뛰어나다.
값을 enabled로 바꿔 부팅 속도를 높인다.

27. * boot sequence
윈도우즈의 부팅 파일을 어디서 불러온 것인지 정한다.
기본 값은 A, C, SCSI다.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살펴 부팅파일이 없으면
C드라이브와 스카시 장치를 차례로 검색한다.
어차피 부팅 파일은 C 드라이브에 있으므로 A 드라이브부터 읽을 필요가 없다.
값을 C, A, SCSI 또는 C only로 바꾼다.

28. * boot up floppy seek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검색하는 메뉴다.
이 시간을 줄이려면 값을 disabled로 한다.

29. * delay IDE initial
전원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부팅이 되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시스템을 검사한 뒤 문제가 없어야 부팅이 시작되었다.
이때는 하드디스크가 반응할 수 있도록 여유 시간을 주었다.
delay IDE initial 명령이 그 일을 한다.
요즘 쓰는 하드디스크는 부팅 하자마자 작동하므로
여유 시간을 둘 필요가 없다. no delay로 한다.

30. * video BIOS shadow
전원 버튼을 누르면 바이오스는 CPU와 VGA카드를 검사한다.
이때 VGA카드의 롬 바이오스를 메모리로 불러온다.
롬 바이오스를 VGA카드에서 직접 읽어오는 것보다
메모리에서 불러오는 시간이 훨씬 짧기 때문이다.
값을 enabled로 한다.

31. * Chipset Features Setup
그래픽카드의 램이나 바이오스 롬을 캐시해서 작업 속도를 높일 것인지,
램을 얼마나 자주 충전할 것인지,
CPU와 램 사이에 흐르는 신호 간격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정한다.

32. * EDO RAS to CAS delay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때는 행과 열로 된 주소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1열 2행이라는 신호를 보내면
메모리는 첫 번째 열의 두 번째 행에 있는 데이터를 불러온다.
열과 행의 주소를 정하는 것을 RAS(raw address strobe)와
CAS(column address strobe)라고 부른다.
이 옵션은 열을 정한 뒤 행을 결정짓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정한다.
물론 짧을수록 좋다.
값은 2 또는 3클럭이 가장 적당하다.

33. * EDO RAS precharge time
펜티엄 시절에 썼던 EDO램은 주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야 제대로 작동한다.
방전되면 기억하고 있던 데이터를 모두 날려버리기 때문이다.
이 옵션은 충전을 얼마나 자주 할 것인지 정한다.
전력을 공급받을 때는 작동을 멈추기 때문에 이 주기가 너무 짧으면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가 떨어진다.
반대로 충전 간격이 너무 길면 방전될 위험이 있다.
가장 적당한 값은 3이다.

34. * system(video) BIOS cacheable
PC 작업을 할 때는 바이오스 정보를 자주 읽어온다.
이 옵션을 enabled로 하면 바이오스 롬의 F000h-FFFFh를 L2 캐시로 복사한다.
덕분에 정보를 읽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진다.
마찬가지로 video BIOS cacheable 항목을 enabled로 바꾸면
VGA카드에 있는 바이오스의 C0000h-F7FFFh가 L2 캐시에 들어간다.

35. * video RAM cacheable
VGA카드에 꽂힌 램에 보관된 데이터를 L2 캐시에 복사해서
그래픽 처리 시간을 줄인다. 값을 enabled로 한다.

36. * NP/PCI Configuration Setup
요즘 나오는 부품은 꽂으면 바로 작동하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술을 쓴다.
하지만 이 기술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 100% 믿을 수 없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용자가 IRQ 번호를 직접 챙겨주어야 한다.

37. * assign IRQ for VGA
그래픽카드에 IRQ 번호를 줘 CPU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기 일을 소화한다.
덕분에 CPU는 맡은 일을 재빨리 처리한다. 값을 enabled로 한다.

38> > . * as> > sign IRQ for USB
인터페이스가 USB인 부품이 CPU의 도움 없이
자기 일을 빠르게 처리하도록 한다. enabled로 한다.

39. * PnP OS installed
전원을 켜면 바이오스는 IRQ와 입출력 주소 등을 각 부품에 할당한다.
하지만 이 일은 윈도우즈도 한다. 같은 일을 두 번 할 이유가 없다.
값을 yes로 바꿔 윈도우즈만 할당하도록 한다.

40. * Intergrated Peripheral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옵션을 정한다.
그 중에서 속도와 관련된 부분만 다루었다.

41. * IDE HDD block mode
원래 하드디스크는 한번에 하나의 섹터(512바이트)를 처리한다.
이 양을 늘려 CPU나 메모리가 자료를 오랫동안 기다리지 않도록 하려면
값을 hdd max로 한다.
이것은 스카시 하드디스크가 쓰던 블록 모드와 같은 원리다.

42. * arallel port mode
최근 선보인 프린터와 스캐너는 EPP나 ECP 같은 고속전송 기술을 쓴다.
값을 EPP or ECP로 하면 DMA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를 재빨리 처리한다.

43. * IDE HDD Auto Detection
IDE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검색해서 올바른 값을 바이오스에 등록한다.
Standard CMOS Setup 메뉴의 hard disks type에서
하드디스크를 직접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44. * xp shutdown(윈도우종료) 빠르게 하기
시작 -> 실행 -> regedit를 실행하고 다음 경로를 찾아갑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Control을 선택한 다음 오른쪽 목록에서
Wait To Kill Service Timeout을 더블 클릭 합니다.
그리고 20000 으로 설정된 값을 100 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시길....